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react-redux
- 리덕스장바구니
- 정렬
- 타입스크립트
- C++
- js to ts
- 공부
- 파이썬
- Operating System
- 알고리즘
- codeup
- CPU 스케줄링
- 분할메모리할당
- error
- 협업
- 백준
- 토이프로젝트
- Java
- Redux
- web
- Spring
- OS
- 기초100제
- 프로그래머스
- memory
- 자료구조
- react
- 코드업
- 일상
- 스프링
Archives
- Today
- Total
감자튀김 공장🍟
[OS] 분할 메모리 할당 - 페이징(Paging) 본문
반응형
페이징
- 페이징(paging)은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을 페이지(page)로 불리는 고정 크기로 나누고 물리 메모리 역시 프레임(frame)이라고 불리는 페이지의 크기의 블록들로 분할하여, 프로세스의 각 페이지를 물리 메모리 상의 임의의 빈 프레임에 할당하는 메모리 관리 기법이다.
- 페이징은 메모리를 고정 크기의 페이지로 분할한다.
- CPU에 의존적이지 않기 때문에 쉽게 구현 가능하며, 시스템에 따라 페이지 크기를 설정할 수 있어 융통성이 높고, 세그먼테이션보다 메모리 활용의 측면에서 훨씬 우수하다.
단편화
- 외부 단편화가 아니라 내부 단편화가 발생한다.
- 내부 단편화는 프로세스의 코드, 데이터, 힙이 페이지 구분 없이 연속되어 있는 경우 마지막 페이지에만 생긴다.
페이징 구현 - 1. 하드웨어 지원
- 페이지 테이블은 프로세스마다 하나씩 메모리에 존재한다.
- 따라서 CPU 내에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페이지 테이블 메모리의 주소를 가진 레지스터가 필요하다.
페이징 구현 - 2. 운영체제 지원
- 운영체제는 메모리 프레임을 동적으로 할당/반환하는 기능과 이에 따라 페이지 테이블을관리하는 기능을 구현하여야 한다.
문제점
- 메모리 액세스 시 2번의 물리 메모리를 액세스 한다.
- 메모리 액세스 = 1번 페이지 테이블 액세스 + 1번 데이터 액세스
- 해결 방법 : TLB 사용
- 페이지 테이블의 메모리 낭비
- 해결 방법: 역 페이지 테이블, 멀티레벨 페이지 테이블
출처
운영체제(Operating system), 황기태 지음
반응형
'Study > Operating Syste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OS]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(Page replace algorithm) (0) | 2022.04.14 |
---|---|
[OS] 분할 메모리 할당 - 세그먼테이션(Segmentation) (0) | 2022.04.12 |
[OS] 연속 메모리 할당 (0) | 2022.04.11 |
[OS] 메모리 할당(Memory Allocation) (0) | 2022.04.10 |
[OS] 메모리(Memory)와 메모리 계층 구조 (0) | 2022.04.09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