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lgorithm/정렬
[python] 퀵 정렬(Quick sort)
Potato potage
2022. 3. 23. 00:01
반응형
퀵 정렬
- 분할-정복법(divide and conquer)에 근거한다.
- 퀵정렬은 합병 정렬과 비슷하게 전체 리스트를 2개의 부분 리스트로 분할하고, 각각의 부분 리스트를 다시 퀵정렬하는 전형적인 분할-정복법을 사용한다.
- 합병 정렬과의 다른 점은 리스트를 비균등하게 분할한다는 점이다.
- 리스트 안의 한 요소를 피벗(pivot)으로 선택하면 피벗보다 작은 요소들은 피벗의 왼쪽으로, 피벗보다 큰 요소들은 피벗의 오른쪽으로 옮겨진다.
- 이 상태에서 피벗을 제외한 왼쪽 리스트와 오른쪽 리스트를 다시 정렬하게 되면 전체 리스트가 정렬된다.
- 합병 정렬과 마찬가지로 부분 리스트에 대해 순환 호출된다.
퀵 정렬의 과정
- 피벗을 5로 설정한 후, 5보다 작은 값은 왼쪽 리스트에, 큰 값은 오른쪽 리스트로 보내는 탐색과 교환 과정을 반복한다.
- low와 high 포인터가 서로 엇갈리게 되면 멈춘 후 피벗을 중앙으로 이동시켜 피벗을 기준으로 2개의 리스트로 나뉘어진다.
- 각 왼쪽, 오른쪽 리스트 별로 위와 같은 과정(pivot 설정 후 탐색-교환 과정)을 반복한다.
전체 과정
코드 정리
# 퀵 정렬
def quick1(arr, start, end):
if start >= end:
return
pivot = start
left = start + 1
right = end
while (left <= right): #left와 right가 교차하기 전까지
while(left <= end and arr[left] <= arr[pivot]):
#pivot보다 큰 데이터를 찾을 때까지 반복
left += 1
while(right > start and arr[right] >= arr[pivot]):
#pivot보다 작은 데이터를 찾을 때까지 반복
right -= 1
if(left > right):
#left와 right가 교차되었다면 작은 데이터와 피벗을 교체
arr[right], arr[pivot] = arr[pivot], arr[right]
else:
#교차되지 않았다면 작은 데이터와 큰 데이터를 교체
arr[left], arr[right] = arr[right], arr[left]
#분할 이후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 각각 정렬 수행
quick1(arr, start, right - 1)
quick1(arr, right + 1, end)
# 1번보다 더 직관적
def quick2(arr):
if len(arr) <= 1:
return arr
pivot = arr[0]
tail = arr[1:] #pivot 제외한 리스트
left_side = [x for x in tail if x <= pivot]
right_side = [x for x in tail if x > pivot]
return quick2(left_side) + [pivot] + quick2(right_side)
반응형